8,15광복절을 맞이하여 부산시 동래구 명장2동
마안산정상에 위치한 동래읍성 사적공원의 3,1운동기념탑을 떠올린다!
| 광복의 배경 8.15 광복직전 우리나라는 독립 운동 단체들을 한국 독립당으로 통합하여 지지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일본의 패망에 대비하여 조소항이 제창한 삼균주의(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의 균등생활 = 완전 균등)채택하여 제정, 공포하였다. 또한 국내 외에서 독립 운동을 추진하던 민족 지도자들은 일제의 패망후에 민주 공화국을 수립한다는데 뜻을 같이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에 선전 포고를 하고 연합국과 함께 참전함으로써 국제적으로 한국의 독립을 보장받았다. 일본 동맹국인 이탈리아(1943.9.) 독일(1945.5.이 연합국에 항복하자 일본의 전력이 급경하게 약하되었고 두 차례의 원자탄 공격으로 전의를 상실하였으며, 소련이 일본에 선전 포고하고 참전함으로써 일본은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하였다(1945.8.15) 출처-->클릭 |
부산3,1운동기념탑이 동래읍성에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동래읍성을 계속 돌아 보면서 알게 된것은 이 동래읍성이 임진왜란때 우리나라에서 먼저 공격당한 곳이며,조총으로 무장한 왜구에 칼과 농기구로 저항하였지만 처참하게 무너져내린 동래읍성민과 송상현공의 영혼이 깃든곳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1919년 나라를 지켜내려는 애국자들의 영혼이 깃든 곳이기에 이 동래읍성의 옜동래객사터(지금의 동래시장)에서 3,1운동이 일어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이 동래읍성지를 시발점으로 동래향교를 비롯하여 여러곳으로 3,1독립운동이 번져 나갔다고 한다.
인생문에서 3,1운동 기념탑까지의 가기 네이버항공사진으로 보기-->클릭
인생문에서 1.2Km
동래읍성이 동래사적공원으로 지정 되어있다.
더운 도보길에 시원하게 목을 축여 주는 약수터.
산불됴심?
이전의 표기법인것 같다^^
지나가는길에 꿩이 자주 보인다!
사진 찍을려고 하면 금새 숨어버리는 꿩,
소리는 잘 들리는데 보이질 않는다!
| 부산 마안산3·1운동기념탑 부산지역에서 일어났던 항일운동 및 |
부산 3,1운동 기념탑입니다.
21m의 높이로 솟아있는 상징탑은 창조하는 미래를 표현하고 있으며,
내부조형탑은 선열들의 독립운동정신을,
천정의 8괘마당은 결집하는 민족정기를 표현하고 있다.
부산 3 ·1 독립운동 약사
부산 3 ·1독립운동기념탑 건립 취지문
기미독립선언서의 공약삼장이 새겨져있다.
체육공원의 전망대길
부산 3,1운동 기념탑 앞마당은
생활체육공간으로 되어 있어서 주민들의 운동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3,1운동 기념탑을 돌아 보면서 옜 우리 선조들의 애국정신에 가슴이 뭉클하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