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4077

하동맛집 진교반점

하동맛집 진교반점 하동 진교에 들렸다가 식사를 하기 위하여 진교시외버스터미널 근처에 있는 진교반점에 들렸다 간짜장을 주문하였는데 물을 스텐컵 가득히 넘칠 것같이 내어오셨고 반찬은 위생적으로 포장되어 있는 단무지와 김치가 나왔다. 하동맛집 진교반점에는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계속 문을 열고 손님이 들어오는데 주방장이 쉬는 시간이 없을 것 같다. 주문하였던 간짜장이 나왔다. 간짜장의 면위에 계란 프라이가 들어가 있고 그 위에 오이가 올라가 있다. 짜장을 다 부어 넣으니 푸짐하다. 왼손으로 비비고, 오른손으로 비벼서 한 젓가락 올려본 하동맛집 진교반점의 간짜장 먹어보니 맛있다. 벽면의 현수막에는 MBC 경남아 사랑해 2020년 11월 26일 방송이 된 곳이다. 그만큼 하동맛집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진교반점이다. ..

진교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진교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진교 출발 진주방면 진교 출발 부산 방면 진교출발 곤양, 마산, 창원, 순천, 광양 방면. 진교출발 하동, 설천 방면. 진교출발 남해 방면 진교 출발 서울, 대전, 술상, 노량, 명덕 방면 진교 출발 양보, 고전, 고내, 월운, 갈사 방면 진교시외버스터미널 출입구 하동 케이블카 채용 공고문, 진교시외버스터미널 승차홈 승차홈 탄소발열의자

여수여행 여자도 여객선 섬달천 선착장 운항시간표

섬달천 선착장 ~ 여자도 대동마을 선착장 도선 여자호 운항시간표 동절기(10월 1일 부터 4월 30일) 섬달천 출발 08:40, 11:40, 14:40, 17:30. 여자도 출발 08:00, 11:00, 14:00, 17:00. 하절기(5월 1일 부터 9월 30일) 섬달천 출발 08:20, 11:40, 14:40, 18:00, 여자도 출발 07:20, 11:00, 14:00. 17:30. 요금 : 대인 5,000원, 경로 3,500원, 중고생 3,000원, 초등생 1,500원.

태백역 열차시간표 태백 관광명소 리스트

태백역 열차시간표 태백 관광명소 리스트 태백역 출발 동해, 제천, 원주, 청량리 방면. 태백역 출발 열차 여객운임표 태백시 관광명소 태백산, 용연동굴. 태백 관광명소 황지연못, 태백 고생대 자연사 박물관. 태백 관광명소 검룡소, 석탄박물관. 태백 관광명소 구문소, 365세이프타운(풍수체험관). 12월 이달의 6.25 전쟁영웅 이화령 전투 대힌민국 육군 소령 김용하 태백 관광안내지도

강원도여행 태백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강원도여행 태백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태백 출발 동서울 방면. 태백 출발 수원, 안산, 인천, 고양(백석), 의정부 방면. 태백 출발 상동, 영월, 서울, 성남, 제천, 원주 방면. 태백 출발 삼척, 동해, 강릉 방면. 태백 출발 대구(북부), 부산(노포), 봉화, 안동, 대구 방면. 태백 출발 하장, 토산(예수원), 풍곡, 호산, 고한 방면. 태백 출발 제천, 원주 방면. 노선번호 1번, 4번 토, 일, 공휴일 운행시간표

강원도여행 해병대 영월지구 전투전적비

강원도여행 해병대 영월지구 전투전적비 한라산 공비토벌 작전 수행중 6.25전쟁을 맞이한 해병대는 군산 장항, 이리 지구 전투를 시작으로 통영 상륙작전과 인천사육작전을 수행하고 경인지구 작전에서는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등 서울 탈환에 혁혁한 전공을 수립하였다. 너무나 ㅁㅅ진 모습으로 서 있는 전적비는 나라를 위해서 희생하신 그 뜻을 놀치기에 알맞다. 6.25 파병 지원국 기념비 우리나라가 전쟁에 처했을 대 먼곳에서 우리를 위하여 달려와 준 분들에게 다시 한번더 감를 드린다. 한명의 국군은 승리의 깃발을 또 다른 한명의 국군은 전쟁 고아를 안고 있다. 따뜻한 우리 국군의 모습이다. 근처에는 충혼탑이 서 있는데 호국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애국정신의 바탕위에서 이룩되었습니다. 이곳은 6.25 전쟁중 호..

강원도여행 영월향교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강원도여행 영월향교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조선시대에는 훈도1명이 교생 50명의 교육을 담당하였으나, 1895년 갑오게혁 이후 폐지되었다. 1912년에는 영월초등학교 학생이 이곳에서 공부하기도 하였다. 향교는 조선시대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으로 영월향교는 1398년 (태조7년)에 설립된 거스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1473년 향교의 기와를 다시 바끄었으며, 1574년과1593년, 1604년에 중창였고, 그 후에도 여러차례 보수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일부 건물이 물에 탔으나 대성전은 당초 건물 그대로 입니다 영월향교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성현과 우리나라의 18성현을 봉안한 대성전, 그리고 향교내 성현들을 배향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