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5호 부산진일신여학교 건물은 1905년에 호주장로교 선교회에 의해 건립된 건축물이다.  건물은 서양식으로서 전국적으로 지금까지 남아 있는 유례가 드물고 비교적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을 뿐 아니라, 비례와 균형미가 돋보이는 휼륭한 건축물로서 우리나라 초기 학교 건물로는 손꼽을 만큼 희소가치를 지니고 있어 건축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부산·경남지역 최초의 신여성 교육기관으로서, 그 동안 이 건물이 교육시설로서 맡아 온 역할과 기독교의 전래과정 등을 고려할 때 역사적·교육사적으로도 가치가 있는 문화재로 평가된다. 출처-->문화재청 | 
| 
 | ||
| ▲ 벨레 멘지스(1856~1935) | ||
여성이 공적 기관에서 교육을 받지 못하던 시절, 초대 교장이었던 맨지스(B. Menzies, 1856-1935 (1891-1924:한국체류))는 국가가 발전하려면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의 교육이 필수적이라는 신념으로 버려진 아이 3명을 데리고 와서 가르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일신여학교는 민족과 국가에 헌신할 수 있는 일꾼을 키우고 자주, 자립의 자세를 키우는데 중점을 두었다. 종교적 색채를 띤 덕분으로 일제가 식민지 교육을 강화했던 1915년까지 일제의 강력한 통제를 피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분위기 속에 신교육을 받은 여성들은 세계정세에 눈을 뜨게 되었고 자연스레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는 정신을 일깨우며 항일 운동의 씨앗은 그렇게 뿌려졌다.
출처-->꿈을 가진 나그네
일신여학교 출신인 정치인 박순천 여사가 사용하던 재봉틀과 사물함과 부속품들
| 부산진일신여학교 만세운동부산진일신여학교 학생들의 항일 학생운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월 10일, 수업을 마치고 기숙사로 돌아온 고등과 학생 11명은 특히, 일신여학교의 의거는 우리나라 3.1운동사에 있어 다른 지방에서는  출처 -->부산시청 홈폐이지 | 
일신여학교 아래에는 일신유치원이 예쁘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부턴 제가 직접 가보질 못하여서 동창회카페에서 옯겨 왔습니다
2011년 3월11일 일신여학교 만세 기념일 행사~~
동래여고 역사관~~
사진출처 -->부산동래여고 총동창회
오늘까지 4회에 걸쳐 부산진교회에 대하여 도보여행을 적었습니다
길을 걷다보면 그냥 서 있는 건물들이 그 건물의 역사속으로 한걸음 한걸음 다가서면
우리 선조들의 피와 땀 그리고 외국선교사들의 사랑이 함께 하고 있음을
부산의 각 지역마다 느낄수 있습니다
부산이란 도시
역사의 교훈도시란 말을 붙여도 전혀 무색하지 않을 도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