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87

대구 허브힐즈 애니멀쇼 보고 왔어요^^

가족이랑 대구 허브힐즈를 잠시 들렸답니다^^ 입구 표지판부터 눈길이 갑니다^^ 이게 쓰레기통이래요^^ 입장료가 평일 7천원 주말엔 8천원입니다 이 앵무새가 관객이 주는 지페를 입에 물고 돌아 온답니다^^ 지원하였던 관객에게서 지페를 입에 무네요^^ 물개쇼^^ 애니멀쇼를 마치고 쥬쥬공원으로 향합니다 귀신이 타는 마차 이곳은 허브체험공간입니다^^ 너무 늦게 도착을 하여서 제대로 구경을 하지 못하고 다시 부산으로 내려갑니다^^ 부산에서 대구 허브힐즈 가는 방법 http://www.herbhillz.com 대구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534-1번지 053-767-6300 글이 마음에 들면 view on 한방! (로그인 불필요) 블로그가 마음에 들면 정기구독+ 해주세요

[낙동정맥] "아미산" 부산 사하구 다대동

낙동정맥 부산구간중 아미산 부분을 다녀왔습니다 버스 103번을 이용하셨다면 성보냉장 앞에서 하차하시면 됩니다 서림사 입간판을 따라 올라갑니다 내려오면서 뒤돌아 보며 촬영한 사진 응봉 봉수대가 보입니다 봉수대에서 바라본 파노라마 클릭하면 커집니다^^ 길을 잘못 들어 다시 내려가며 촬영한 사진 저앞에 롯데 아파트가 보입니다 응봉봉수대를 내려 와서 왼쪽으로 진행합니다 롯데 아파트 담장을 따라 내려가면 아미산 전망대가 나옵니다 이상 아미산을 통과 하는 길을 안내하였습니다^^ 글이 마음에 들면 view on 한방! (로그인 불필요) 블로그가 마음에 들면 정기구독+ 해주세요

다대첨사 윤흥신장군

도시철도 부산진역에 내려서 고관입구에 가면 윤흥신장군상이 있습니다 다음 로드뷰로 보기-->http://dmaps.kr/5f9t 이어서 사하구 다대포로 이동합니다 1주공 아파트 버스정류장에 내립니다 육교 너머에는 다대초등학교로 가는 길이 있네요 다음 지도로 보기-->http://dmaps.kr/5f9v 종 목 시도기념물 제9호 (사하구) 명 칭 윤공단(尹公壇)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 수량/면적 12,890㎡ 지 정 일 1972.06.26 소 재 지 부산 사하구 다대동 산24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부산시 관 리 자 사하구 상 세 문 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문화공보과 051-220-4082 임진왜란 때 순절한 다대첨사 윤흥신 장군의 충절을 기리고자 높이 마련한 단으로, 단 중앙에..

부산에 있는 "고관입구" 지명의 유래는?

부산 두모포왜관(豆毛浦倭館) 왜관은 일본사절과 상인이 조선에 와서 외교와 무역을 하던 곳입니다. 당시 조선인이 일본으로 건너가 무역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일본인이 조선으로 건너와 무역을 하였습니다. 따라서 조선 정부는 포구를 지정하여 일본인의 거주와 상행위를 허용하였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제포(진해 웅천), 부산포(부산 범일동), 염포(울산 염포동) 세곳에 왜관이 있었고 일본인과 조선인은 허가를 얻어 왜관에 출입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조일전쟁으로 인해 이전의 왜관은 폐쇄되고 일본사절이 서울로 올라가 조선국왕을 알현하는 것도 금지되었습니다. 그 후 일본과 국교가 재개되면서 조선은 1607년(선조 40년) 부산에만 왜관을 두어 외교와 무역을 허락하였는데 이 때 세워진 것이 두모포왜관입니다. 두모포왜..

[초량교회] 부산지역 선교와 복음화의 구심점

버스로 초량지구대에 하차합니다 1892년 11월 7일 미 북장로교 선교사 베어드 선교사가 부산 영선현에 거주지를 정하여 5월경에 주택을 건축하고 옆에 지은 사랑방 예배처소를 개방하며, 이 때 본격적인 선교활동으로 영선현 교회(초량교회 전신)를 설립하였다. 초량교회는 6.25 전쟁 기간 중 피난동포를 섬겼으며, 부산지역 선교와 복음화의 구심점이 되었다. http://photohs.co.kr/xe/kyungsang_kesan/2885 * 초량마을 위에 있었던 선교사 무덤(1895) Henry Davies (1890. 4. 5 소천) Sara Mackay (1893. 1. 27 소천) Mrs A. Adamson (1895. 11. 27 소천) * 초량교회를 도운 호주 선교사들(1910년 3월) 뒤줄 중앙 맥케..

국내여행/교회 2011.08.19

[남선창고] 떡논=명태고방= (북선창고) = 남선창고

지금은 탑마트가 들어서 있습니다 옜 남선창고의 흔적들... 출처 -->http://blog.naver.com/teamay/70004138103 위의 사진은 2006년 5월의 사진입니다 도서명: 부산을 배웁시다, 구매운의:문우당서점 떡논=명태고방= (북선창고) = 남선창고 1877년에 가뭄이 심해서 곧 흉년이 들었는데 논을 가졌던 사람도 흉년으로 극도의 굶주림에 빠져 있을 때 떡을 가진 사람이 있었는데 논 주인이 허기진 주림을 이기지 못해 그 떡을 주면 저 세마지기 논을 너에게 주겠다고 하고 떡을 얻어먹었다고 한다. 그 떡의 양이 얼마만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논 주인의 허기짐이 어떠했는지 가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일이 있은 이듬해 봄 농사철이 되어도 그 논을 일구는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이웃이 이제 ..

[백제병원] 1922년 부산 최초의 근대식 개인종합병원

1930년 명지사람 최용해가 지은 백제병원, 후에 봉래각(중국음식점)으로,신세계예식장으로 탈바꿈합니다. 도서명: 부산을 배웁시다/부산민학회 구입문의 문우당서점 1922년 일본 강산의전 출신인 최용해가 기존의 목조건물을 헐고 새롭게 공사비 6만원을 들여 세운 부산 최초의 근대식 개인종합병원이었다. (당시 영도다리 노동자 임금 55전) 당시 부산부립병원, 철도병원과 함께 3대병원으로 벽돌식 건물의 80년된 병원으로 독일과 일본의사도 있었고 이비인후과와 간호원이 30여명으로 침대 또한 40여개가 넘었다. 그러나 최용해의 호사가적 기질과 건물 5층에 행려병자의 인체표본을 둔 것이 말썽이 되면서 경영의 어려움까지 겹치자 최용해는 1932년 39세에 일본인 부인과 함께 일본으로 야간도주하여 문을 닫게 되고 관리권은..

부활한 문우당서점에서 부산관련 전문서적을 발견하다

오랫동안 부산의 향토서점으로 부산사람들에게 문화의 공간, 만남의 공간이 돼 주었던 문우당서점이 창업 55년만에 지난 해 2010년 10월 31일로 폐업을 하였었습니다 출판사의 이야기로 결제대금을 뒷자리 10원짜리 까지 다 챙겨서 하였답니다^^ 옜 문우당서점 지하1층 지상 5층건물입니다 10여년전에는 지금의 광복로에 위치혀여서 항상 많은 사람들로 북젹였습니다 길 건너로 이전하였을 뿐인데 결과는 참담하군요 페업을 하려고 한이후 부산시민들의 향토서점살리기운동이 시작되었고 문우당서점은 2011년 4월 이제 다시 옜 자리 주변으로 이전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옆엔 항상 사람들로 북적이는 옜문우당의 영광을 이어받은 남포문고가 버티고 있습니다 새로 이전하여 다시 발돋움하는 문우당에 이제 자주 가렵니다 지금의 작지만 강..

티스토리 스팸댓글 추적하여 보니

블로그에 이런 이상한 댓글이 달리는것 많이 보시죠? 항상 삭제를 하는데도 계속 올라오는 이글의 정체가 무엇인지 궁금하여지더군요... 그러던중 좋은 사이트 하나 발견하였습니다 일명 아이피 위치추적기 이 사이트에 들어 가셔서 그 스팸댓글의 발생지를 한번 알아 보세요 사이트 바로가기-->http://www.utrace.de/?query=82.168.92.236 이 곳에서 왜 이상한 댓글을 자꾸 남길까요? 티스토리에 자꾸 스팸댓글을 올리는 아이피는 이렇게 차단을 합니다 그리고 혹시 내 이메일이 해킹당하지 않았을까 이것도 한번 알아 볼까요 먼저 다음메일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비밀번호를 한번 더 묻습니다 모두가 로그인 성공으로 나옵니다 옆의 아이피를 보시면 자신이 접속한 아이피가 맞는지 한번 확인하여 보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