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4040

북경서신 광주시립미술관 북경창작센터 10주년 기념 특별전

북경서신 광주시립미술관 북경창작센터 10주년 기념 특별전 광주시립미술관은 2009년 말 지역작가들의 창작활동 지우너과 세계미술무대 진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798문화예술구와 인접한 곳에 북경창작센터를 개관하였다. 2010년 5명의 제1기 입주 작가를 시갖으로 지난해까지 42명의 지역갖가와 2명의 기획자가 입주해 활동하였는데, 단기 입주작가 운영은 2011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주로 중국 작가들이대상이 되었다. 북경창작센터는 2017년부터 예술가들의 스튜디오와 갤러리 등이 밀집해 있는 송좡예술지구로 자리를 옮겨 운영되고 있다. 쓰마오 쾌락 2019 / 생각하는 사람 2015 / 리티엔위엔 퇴역 인 2007. "북경서신"전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북경창작센터에 입주해 활동했던 중국 작가 21명을 초대하..

2019 호남미술아카이브 의재, 산이되다

2019 호남미술아카이브 의재, 산이되다 연진회로 이어진 의재 정신과 예술 전통 위에 꽃 핀 호남 남종화, 변화와 계승을 생각하다. 광주-전남지역은 소치 하련의 문림산방에서 이어진 유서 깊은 남종화의 전통이 오래도록 남아 있는 곳이다. 의재 허백전이 1930년대 광주에 안착함으로써 70년대 말까지 허백련과 동시대를 공유한 시민들은 자연스레 전통 수쿡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뜨거웠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출발한 서화동호모임 는 사승관계로 재 결성된 후기 연진회에 이르기 까지 허백련과 함께 남종화의 정신과 예술을 계승한 단체로써 광주화단의 큰 축이었음은 알려진 바 있다. 그런데 7,80년대까지 지역화단에 미친 연진회의 조명에도 불구하고 당시 연진회를 거쳐 간 작가들 중 소수 몇 명을 제외한 대부분이 자료와 활..

광주전시회 맛있는 미술관 2019 광주 FINA 수영선숫권대회, 디자인비엔날래기념

2019 광주 FINA 수영선숫권대회, 디자인비엔날래기념 광주전시회 맛있는 미술관 지난 2019년 7월 2일 부터 오는 11월 3일 까지 광주시립미술관에서 맛있느 미술관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유리병 속에 각종 곡식을 넣어 놓아 우리가 먹느 음식의 모습을 표현하였습니다. 이번 전시는 우리의 음식문화를 다루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우리 삶으 ㅣ중요한 부붐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일것입니다. 영흥식당 광주 예술가들의 맛, 예술가들의 사랑방은 단연코 "영흥식당"을 빼 놓을 수 없습니다. 금남로와 예술의 거리 사이 길에 지난 32년 동안 터줏대감처럼 자리를 지키고 있었던 "영흥식당", 외관은 허름하지만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식당입니다. 화가 ,음악가, 문인등 많은 예술가들의 아지트로 거쳐간 손님만큼 수많..

대한불교 천태종 벌교흥교사

소설 태백산맥문학관과 현부자네집을 둘러보는데 현부자네집 바로 옆에 사찰이 있어 들어가 보았습니다. 사찰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아보이는데 비가 오는 날이라 그런지 한옥양식의 건물분위기가 멋이 있어 저절로 발걸음이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불고사찰이 우리에게 친숙한것은 아마 한옥의 건축양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대문일것 같은데요 만약에 한옥 건축양식이 아니라 조립식 판넬집으로 지으졌다면 그 결과는 과연 어떠했을련지 궁금하여 집니다. 약수가 계속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감로수라고 부르는데 불자이거나 불자라 아니거나 누구든 산사에 찾아들면 감로수 한잔에 마른 목을 축이곤 한다. 이것은 사찰과 자연은 하나 됨이며, 누구에게나 개방된 공간임을 여실히 알 수가 있다. 감로수는 새대적 흐름에 따라 오늘날은 부처..

통영맛집 명가충무김밥 60년 전통을 이어가는 통영박이 충무김밥

60년의 전통을 이어간다는 통영맛집으로 왔습니다. 여러 방송사에 출연을 많이 한 통영맛집 통영박이 충무김밥입니다. 실내는 심플하며 깔끔한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벽에 걸린 안내문에는 3대의 기은 맛과 자부심을 이어간다고 합니다. 충무김밥 1인분 5,500원(8개)입니다. 전국 택배도 가능하군요 모든 재료가 순수 국내산이라며 알려 놓았는데 믿음이 갑니다. 오징어, 쌀, 참기름, 고춧가루, 소금 모드가 국내산이라고 합니다. 주방 쪽에서 매장을 바라본 모습입니다. 통영을 여행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통영 안내지도를 잘 만들어 놓았습니다. 손님 테이블에는 이러한 장식품도 있어 보기에 좋았습니다. 작지만 아기자기하게 벽면을 장식을 하여놓았습니다 드디어 기다리던 충무김밥 1인분이 나왔습니다. 김밥이 8개입니다. 그리고..

보성여행 소설 태백산맥 문학기행길 현부자네집 소화의집

소설태백산맬 문학기행길 소화의집 '조그만 하고 예쁜 기와집. 방 셋에 부엌 하나인 집의 구조.... 부엌과 붙은 방은 안방이었고, 그 옆방은 신을 모시는 신당이었다. 부엌에서 꺾여 붙인 것은 헛간방이었다.' 소설 태빅산맥에 나오는 무당 소화네 집의 모습이다. 당시의 무당집은 실제로 제각으로 들어서는 울 안의 앞터에 있었다. 집 둘레로는 나춤한 토담이 들러져 있었고, 뒤로는 풍성한 대나무숲이 집을 보듬듯 하고 있었다. 뒤란으로 도느 길목의 장독대 옆에는 감나무도 한그로 서 있는 집이 쓰러졌고, 토담의 일부와 장독대의 흔적들이 남아 있었지만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밭으로 변했다. 그 후 주차장으로 사요하게 되면서부터 그 흔적좇차 찾을 수 없게 되었던 것을 2008년 보성군에서 복원하였다. 소설 태백산맥은 이 집..

사천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사천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서울(남부), 대전, 인천, 천안, 대구(서부) 방면. 부산, 김해 방면. 마산, 창원, 고성, 통영, 고현, 장승포 방면. 진주, 삼천포, 상리, 고성, 우천, 사촌, 사천시외버스터미널 요금표. 사천지역특산물 전시. 사천터미널 사천팔경 사천시 상징물. 서울남부행 요일별 시간표 2019.7.1.(월)시행. 진주, 삼천포 운행시간 변경. 사천시외버스터미널 전화번호 : 1688-4003 경남 사천시 사천읍 선인리 315-2

김해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김해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내서, 동신A, 마산대, 함안, 용원, 웅동, 진해, 사상 방면. 창원, 현풍, 고령, 거창, 동래, 해운대, 안동 방면. 마산(국도), 마산(고속), 배둔, 고성, 통영, 거제, 고현 방면. 진주, 사천, 용현, 삼천포, 진교, 남해, 밀양 방면. 부곡, 영산, 창녕, 서대구, 양산, 울산, 언양, 경주, 포항 방면. 광주, 전주, 익산, 군산, 동광양, 광양, 순천, 대전 방면. 구미, 성남, 용인(신갈), 오산, 수원, 안산, 동서울, 제천, 원주 방면. 인천, 인천공항, 서울(선산휴게소) 방면. 자동티켓 발행기 가야왕도 김해 자활생산품, 지역특산품, 판매점. 김해여객터미널 김해여객터미널 전화번호 : 1688-0117 경남 김해시 외동 1264

2019 금산 매실 힐링 페스티벌 강원도 춘천 축제여행

2019 금산 매실 힐링 페스티벌 강원도 춘천 축제여행 매실힐링페스티벌조직위원회가 마련한 금산 매실 힐링 페스티벌이 지난 6월 22일부터 23일까지 금산리 매실농원 점말촌에서 열렸습니다. 점말촌은 도예마을로서 마을 자체적으로 도예전시회를 열기도 하는 마을입니다. 오늘 방문한 날은 마침 2019 금산 매실 힐링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는 날이었는데요 숲길을 걸어요, 수다를 떨어요, 체험하면 놀아요, 맛있게 먹어요란 구호가 가깝게 느껴집니다. 일정표를 보면 22일(토)에는 체험활동, 버스킹 공연, 플리마켓, 먹거리 부스 운영이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5시에는 금산 매실 힐링 페스티벌 개막식이 열리며 축하공연으로 박사마을 조아조아 합창단, 민성숙 독창, 봄내들 예술단(국악), 트로트 가수 출전의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