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1190

2016 영덕 황금은어축제

2016 영덕 황금은어축제 재미있고 신나는 여름축제 영덕 황금은어축제가 영덕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하늘에는 애드벌룬이 땅에는 축제장이 방문객을 기다리고 있어요, 은어축제장 답게 입구에는 종이로 연등을 만들어 놓아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제일 많이 참여하고 모두 즐거워 하는 반두로 은어잡기체험을 신청하기 위해 많은 사람이 이곳을 찾습니다. 진행자의 징소리에 맞추어 반두로 은어잡기가 시작되며 약 40분간 마음껏 은어를 잡을 수 있습니다. 팀을 이루어 두명이 반두를 고정시키고 아이들이 텀벙텀벙 뛰며 은어를 몰아옵니다. 어른들은 재치를 발희하여 둥글게 모여서 차츰 조여가는 작전을 펼쳐 은어를 잡습니다. 특산물판매부스도 있으며, 우드 체험장도 있네요 초록우산에서는 나눔부스를 운영하며 방문하는 모든 사..

금원산 자연휴양림 유안청폭포길

금원산 자연휴양림 찾아가는 길 농어촌버스로 거창시외버스터미널에서 금원산 가는 길과 오는 길신원.합천.춘전방면 정류장까지 약 546m 이동 ~ 금원산 매표소 정류장 하차 소요시간 57분8:20, 12:00, 15:00, 18:30.금원산 매표소에서 승차 ~ 거창시외버스터미널 정류소 하차 소요시간 57분9:25, 13:05, 16:15, 19:10.시간문의 944-3720 정해진 시간보다 5분정도 미리 가서 대기하여야 버스를 놓치지 않습니다.금원산이란 이름이 내려오는 전설에 의하면,이곳에 황금색을 띤 원숭이가 있었는데 자신의 비상한 머리와 재주를 믿고 산의 평화를 깨는 행동을 하고 다니자,어느 도승이 이 황금색을 띤 원숭이를 잡아다가 원암이라는 바위 속에 가두었다는 것에서 유래됩니다. 왼쪽 골은 유안청계곡,..

하동가볼만한곳 백련리도요지

하동가볼만한곳 백련도요지 백련도요지 경남 하동군 진교면 사기아름길 1117번지 일대 입니다. 때는 허왕후 시대 시기적으로 이때는 토기 시대였고, 하왕후는 철 느낌이 나는 붉은색 토기의 찻사발을 원하였습니다. 그래서 김해에서 나는 철성분을 섞은 토기가 유약을 바른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점에 착안하여, 토기를 구울 때 철성분이 흘러나와서 유약을 바른 효과가 나는 고급 토기를 만드는 데 성공하였답니다. 그리고 다기 작품에 샘을 나타내는 새미골을 한자로 우물 정(井)자를 새겨 넣어 표시하였습니다. 2013년 7월에 방영된 MBC 드라마 '불의 여신 정이' 가 인기를 끌면서 도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오늘 여행지는 '불의 여신 정이'를 비롯해 '대장금', '다모' 등에 나오는 그릇 소품들을 직접 만든 장금..

경북 고령 예쁜 교량 대가야 보도교 야경

고령 대가야 보도교 야경고령에서 발견한 고령의 멋진 다리 이 다리는 대가야 모듬내 보도교 설계 현상 공모작에 당선된 작품이라고 한다. 전용 보도교이며 밤길을 걸으면 시원하다; 보도교 양편에 있는 반원형 구조물은 2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하나는 대가야 고분군을 상징하고,이 길을 걸으면 마치 대가야 고분군 사이를 걷고 있는 그런 느낌을 받게 된다.대가야 고령 다운 아주 멋진 아이디어의 다리 조형물이다. 또 다른 하나의 의미는 이 조형물의 디자인이 대가야의 가야금과 12줄을 형상화 한 것이다. 이 보도교를 걸으면 당장 우륵이 곁으로 다가와 가야금을 연주할 것 같다. 대가야의 고분 사이를 걷는 느낌과 우륵이 지금이라도 당장 연주할 것만 같은 12줄의 가야금 형상을 한 대가야 보도교는 걷는 것만으로도 대가야..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공원 군번도 기록도 없었던 당시의 학도병들이 펼쳤던 비화

장사상륙작전 군번도 기록도 없었던 당시의 학도병들이 펼쳤던 비화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우리나라를 지켜내기 위하여 이름없이 전장의 이슬로 사라져간 그들을 기립니다. 여름이면 해암다 수 많은 해소욕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루는 장사해수욕장이다.하지만 이곳은 지금으로 부터 60여년전 이땅의 자유를 되찾기 위하여 전장의 이슬로 사라져간 호국영웅들이 있다. 장사상륙작전 기념탑여름이면 해마다 수 많은 해수욕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루는 장사해수욕장이다.하지만 이곳은 지금으로 부터 60여년전 이땅의 자유를 되찾기 위하여 전장의 이슬로 사라져간 호국영웅들이 있다.그들을 기억하는건 장사상륙작전 기념탑 이 작전은 극비리에 진행되었기에 배도 수장되었고 아무 기록도 남지 않아 역사속으로 사라질뻔 하였으나.장사리앞 해안을 수색하던..

삼사해상공원 영덕 가볼만한곳 해양산책로

영덕 가볼만한곳 삼사해상공원 해양산책로삼사의 지명유래는 두 가지 이유가 전해오는데, 하나는 '통일신라시대에 세 사람이 시랑 관직을 지냈다 해서 삼시랑이라 하고,또 하나는 '세 번 생각한다'해서 '삼사라고 부르는데 이은 '들어오면서 - 살면서 - 떠나면서 생각한다'라고 한다. 영덕 삼사해상공원은 1997년부터 해마다 12월 31일과 1월 1일에 해맞이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새벽 영덕 해맞이 공원에서 일출을 보고 13.1km 자동차로 27분 정도 걸려 도착한 삼사해상공원 삼사해상공원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반기는 상징 조형물 "바다의 빛", 산과 바다 강이 삼위일체의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풍광의 고장, 영덕유구한 역사와 향기 높은 문화를 창조해온 영덕동해의 떠오르는 태양과 파도를 상징하는 이 조형물은 영덕..

영덕 가볼만한 곳 영덕 해맞이 공원에서 보는 일출

영덕 가볼만한 곳 영덕 해맞이 공원에서 보는 일출 경북일출의 명소 영덕 해맞이공원 안개가 가득하여 맑은 일출 사진은 만나지 못하였지만드 넓은 동해바다의 모습을 볼수 있다는게 참 좋은 곳이다. 동해바다에서 떠 오르는 저 태양을 보아라. 영덕 해맞이공원 표지서 옆으로 떠오르는 동해 일출 매년 1월 1일은 이곳 영덕 해맞이공원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는 명소이다. 바다위에는 어선들이 만선의 부푼꿈을 안고 출항하고 있다. 청포말등대 앞으로 떠오르는 동해 일출. 청포말등대의 사각조형물이 마치 사진액자처럼 보인다. 좋은 어장을 잡기위해 힘차게 달려 나가는 어선. 황금햇살을 받으러 달려가는 저 어선은 돌아올댄 만선이겠지! 태양은 이제 어느정도 떠올라 이제 더이상 태양의 정면사진은 찍을수 없는 시간이 ..

영덕 가볼만한곳 대부리 벽화마을

영덕 가볼만한곳 대부리 벽화마을영덕 블루로드 코스중에 만나게 되는 대부리 벽화마을 물고기의 비늘 하나하나에 각각의 캐릭터가 그려져 있다. 아니 이것은 화가 이중섭의 느낌이 팍 나는 그림 상어를 그물로 포획하는 그림 고래와 영덕대게가 어우러진 그림. 전봇대를 나무가 그려진 벽화속으로 끌어 넣은 그림. 무지개가 떠오르는 마을. 행복한 대부리 마을버스 무지개가 있는 대부리 마을. 영덕의 상징 영덕대게가 잘 표현되어 있다.2014년에 그려진 벽화인데 우측 아래로는 이 벽화작업에 참여한 작가들의 이름이 함께 들어가 있다. 오랫만에 보는 스펀지밥. 돌담이 이렇게 멋지게 표현될수도 있다. 배수구를 멋지게 영덕대게의 두 눈으로 표현하였다.우측의 테트리스는 지금이라도 게임을 하고 싶게 만든다. 영덕대게와 조개 불가사리...

단양여행 소백산 구인사 부처님오신날

단양여행 소백산 구인사 부처님오신날소백산 구인사 일주문 소백산 구인사 천왕문 사천왕문에서 바라본 인광당 풍경 구인사 스탬프 이세상에 내것이 어디있나 사용하다 버리고 갈뿐이다 삼충석탑코기리상을 기단으로 한 구인사 3층 석탑 점심공양을 준비하고 있는 모습 점심식사후에는 도토리떡을 나누어 주신다. 대조사전 대조사전에서 바라 본 경내풍경 오층대법당 박뮬관 구인사전화번호 : 043-423-7100충북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132-1

고창 가볼만한곳 선운사

고창 가볼만한곳 선운사선운산으로 올라가는 길에 있는 선운천의 멋진 풍경 한 폭의 그림같은 풍경에 매료되는 선운천의 행복한 가족 모습. 모처럼 만의 더운 날씨에 물가로 뛰어든 소녀들의 입가엔 미소가 가득하다. 잘 만들어진 덱를 따라 한번 걸어가 봅니다. 선운천의 물 색깔이 좀 검다고 생각하였는데, 지도상에는 선운천으로 되어 있는데, 안내 표지판에는 도솔천으로 되어 있습니다. 고창 삼인리 송악. 송악의 크기가 상당합니다. 영화 남부군 촬영 장소입니다. 매표소에는 등산객의 발길이 가득하고, 녹음이 짙은 길을 걸어가 봅니다. 선운사의 역사와 오늘. 만새루애 앉아서 바라본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