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1190

대한불교 천태종 벌교흥교사

소설 태백산맥문학관과 현부자네집을 둘러보는데 현부자네집 바로 옆에 사찰이 있어 들어가 보았습니다. 사찰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아보이는데 비가 오는 날이라 그런지 한옥양식의 건물분위기가 멋이 있어 저절로 발걸음이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불고사찰이 우리에게 친숙한것은 아마 한옥의 건축양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대문일것 같은데요 만약에 한옥 건축양식이 아니라 조립식 판넬집으로 지으졌다면 그 결과는 과연 어떠했을련지 궁금하여 집니다. 약수가 계속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감로수라고 부르는데 불자이거나 불자라 아니거나 누구든 산사에 찾아들면 감로수 한잔에 마른 목을 축이곤 한다. 이것은 사찰과 자연은 하나 됨이며, 누구에게나 개방된 공간임을 여실히 알 수가 있다. 감로수는 새대적 흐름에 따라 오늘날은 부처..

보성여행 소설 태백산맥 문학기행길 현부자네집 소화의집

소설태백산맬 문학기행길 소화의집 '조그만 하고 예쁜 기와집. 방 셋에 부엌 하나인 집의 구조.... 부엌과 붙은 방은 안방이었고, 그 옆방은 신을 모시는 신당이었다. 부엌에서 꺾여 붙인 것은 헛간방이었다.' 소설 태빅산맥에 나오는 무당 소화네 집의 모습이다. 당시의 무당집은 실제로 제각으로 들어서는 울 안의 앞터에 있었다. 집 둘레로는 나춤한 토담이 들러져 있었고, 뒤로는 풍성한 대나무숲이 집을 보듬듯 하고 있었다. 뒤란으로 도느 길목의 장독대 옆에는 감나무도 한그로 서 있는 집이 쓰러졌고, 토담의 일부와 장독대의 흔적들이 남아 있었지만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밭으로 변했다. 그 후 주차장으로 사요하게 되면서부터 그 흔적좇차 찾을 수 없게 되었던 것을 2008년 보성군에서 복원하였다. 소설 태백산맥은 이 집..

울산맛집 언양희성식품 정육식당 미나리 외이너리 트레비 양조장 수제맥주 견학

울산시 블로그 기자 워크숍으로 오전에는 언양향교에서 교양특강을 실시하였으며 점심시간에는 언양향교 근처 언양희성식품 정육식당에서 맛있는 점심식사를 하였습니다. 보기만 하여도 입안에 침이 다시 고이는 아주 맛있는 정육점이 있는 식당이었습니다. 그리고 냉면이 나왔는데 살얼음이 동동 뜨서 시원한 냉면입니다. 면을 한 젓가락 집어 보니 지금 보아도 다시 먹고 싶네요 정육식당이라 1층에서 원하는 고기를 구매한 후 2층에서 식사를 하는 방식입니다. 언양희성식품 정육식당 외부 모습 언양희성식품 정육식당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로 1204-4 2층 정육식당 052-263-9901 이어 지역 특산품 생산업체 방문을 하였는데 이곳은 미나리 와이너리 시설업체입니다. 오늘은 이곳에서 미나리 와인 만들기와 식초 만들기 체..

광주여행 도시속의 호수공원 운천호수

광주 도심 속에 호수가 있고 이곳을 공원으로 활용하고 많은 광주시민이 찾고 있는 운천호수를 찾았습니다. 입구에는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마스코트가 먼저 반겨줍니다. 제18회 2019 광주 FINA 세계수영 선수권대회 2019. 7.12.~7.28.(17일간) 마스코트인 수리의 모습입니다. 제18회 2019 광주 FINA 세계마스터즈 수영 선수권대회 2019.8.5.~8.18.(14일간) 마스코트 달이의 모습입니다. 상무 수변공원 내 운천호수는 주요 시설물로 수변데크, 바닥분수, 음수대, 데크 육교, 일주산택로 1km, 화장실, 운동기구, 연꽃 관찰 데크, 지압보도, 야외무대, 음악분수, 팔각정이 있습니다. 이곳 운천호수는 축조 연도가 1951년이며 담수량은 85,000톤입니다. 1967년 2월 20일 공원..

시민 서포터즈 역량강화 특별교육

지난 6월 20일 광주시청 무등홀에서 시민 서포터즈 역량강화 특별교육이 있었습니다. 이번 교육은 2019 FINA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즈음한 MOJO 교육이었는데요 2층 무등홀을 가득 채운 시민 서포터즈분들이 오늘의 요육을 열심히 들었습니다. 먼저 KBS 채일기자의 강연이 시작되었습니다. 채일 기자는 1인방송 나도 할 수있다. 모바일 쟈키mobile jockey 개요 스토리보드 작성에 관하여 강의를 하여주셨습니다. 예전의 방송장비는 크고 무거워 혼자서는 움직이는게 쉽지 않았는데 어느 순간부터 스마트폰을 활용한 기자들이 방송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일명 모조 MOJO입니다. MOJO (Mobile JOurnalism) 휴대폰으로 뉴스제작하는 일이 이제 누구나 쉽게 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뉴스를 만드는 기본..

광주 518공원 한바퀴 산책

518 공원 입구에는 팔각정과 시원한 분수가 어우러져 시원함을 선물하고 있습니다. 광장에서 오르는 계단을 따라 오르면 518 대형 조형물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곳은 잔디관리가 잘되어 있어 보기에도 좋았는데 특히 반려견을 데리고 산책하시는 분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518 민주화운동 학생기념탑입니다. 산책로에는 이런 조형물이 보입니다. 산책하는 광주시민을 위하여 산책로 포장이 잘되어 있으며 특히 올바른 걷기에 대하여 이렇게 안내판을 만들어 놓으니 눈에 쉽게 들어옵니다. 간이 체육시설이 있는곳에는 시민들이 모여 몸풀기를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높은 계단이 보여 가까이 가보니 이곳은 단성전이 있는 곳입니다. 단성전 안내판을 보면 이곳은 광주광역시 상무지구 여의산 마루에 자리한 단성전이라고 합니..

전남여행 시민이 행복한 광주시청 시민숲

광주광역시청으로 들어서는 순간 넓은 녹색의 공간이 시선을 끌어당깁니다. 시청 입구에는 세계수영 선수권대회 마스코트가 환한 얼굴로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녹색공간 곳곳에 이런 파고다를 설치하여 놓았는데 파고다를 감싸고 있는 능소화가 더욱 예쁘게 보입니다. 시청 앞 광장 녹색지대를 가로지르는 조형물은 더욱 멋스럽습니다. 녹색공간 곳곳에 이러한 쉼터가 있어 정원을 거닐다 잠시 쉬기에도 편리합니다. 이 의자는 아주 재미있는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 혹시 한쪽에만 앉으면 의자가 쓰러지는 그런 일은 생기지 않겠죠 산책로에는 소나무가 심어져 있어 마치소나무숲을 거니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차도 가까이 있는 곳에는 광주 수영 선서권 대회 홍보용 화환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녹색정원에서 바라본 광주시청의 모습이..

광주여행 금호고속 역사관

금호고속의 70년 발자취와 미래 금호고속 역사관 광주 유스퀘어에 고속버스를 타고 내렸는데 금호고속 역사관을 만났습니다. 한 기업의 역사관을 누구나 쉽게 만날 수 있는 장소에 개장하였다니 그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많은 사람드링 오가는 터미널 안에 마련된 금호고속 역사관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또한 볼거리가 있어 유익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택시 2대로 출발한 아름다운 미래 금호고속이 정말 택시 2대로 출발하였나 봅니다. 택시 2대로 출발하였던 금호고속이 지금은 우리나라를 넘어 전세게의 우수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 매우 놀랍습니다. 보깅에도 아주 멋스러운 자동차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차의 관리상태로 보아 지금이라도 시동을 걸면 걸려서 시내를 질주할 것만 같은 그런 자동차의 오습입니다. 클래식카의 매력..

전남 보성여행 문학기행 일번지 천상갯벌이 숨쉬는 중도방죽 벌교생태공원

전남 보성 여행 문학기행 일번지 천상 갯벌이 숨 쉬는 중도방죽 이 길은 소설 태백산맬 문학기행 길이며 중도방죽이라 불립니다. 중도방죽은 일본인 중도의 이름을 따 붙여진 간척지 방죽이 이름입니다. 긴 방죽을 따라 주민들의 산책장소로 자리를 잡은 자리입니다. 주차장에서 방죽으로 넘어오는 가리는 목재로 만들어져 생태를 중요시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계단 옆에서 꽃을 피우고 있는 자그마한 들풀이 오늘은 예뻐 보입니다. 벌교천을 가로지르는 벌교생태육교입니다. 목재로 구성되어 있어 자연친화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벌교천에 물이 빠져나가고 있는 상태입니다. 갯벌에서 생명이 움직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갯벌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게들이 갯벌 위를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살아 있는 생태계의 모습을 여기서 확인할 수..

충남 서천 문화재 보물 제224호 성북리 오층석탑(비인 오층석탑)

서천여행중에 만나는 고려 초기의 석탑 서천 성북리 오층 석탑입니다. 오층 석탑은 보물 제224호로 지정되어 있어 서천여행 중 석탑에 관심 있는 분들은 꼭 들리고 간다는 그곳입니다. 오층 석탑임구에는 넓게 잘 가꾸어진 주차장이 있어 주차에는 아무 불편없이 오층석탑을 관람하실수 있습니다. 오층석탑 좌측으로는 관리사무실과 화장실이 있습니다. 관리실 옆으로 아주 큰 나무가 근처 마을의 어르신들의 쉼터가 되어 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서천 성북리 오층 석탑은 백제시대 석탑 인데요 다른 석탑들보다 더욱 충실하게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을 모방하고 있습니다. 탑의 구조는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 이렇게 세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기단부를 받치고 있는 지대석은 장대석이 몇 장 결구하여 2단을 이루며..